아침 식탁의 단골 메뉴인 시리얼! 바삭한 식감으로 시작하지만, 우유에 닿는 순간 눅눅해지는 그 변화는 많은 이들에게 아쉬움을 선사합니다. 그런데 이 평범한 현상을 물리학적으로 진지하게 파고든 연구팀이 있습니다. 1995년 이그노벨 물리학상은 바로 D.M.R. 조겟(Georget), R. 파커(Parker), 그리고 A.C. 스미스(Smith)에게 돌아갔습니다.
잉글랜드 식품 연구소 소속의 이들은 "아침 식사용 시리얼 플레이크의 압축 거동에 대한 수분 함량의 영향을 연구한 공로"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습니다. 일상 속의 작은 불편함에서 거대한 과학적 질문을 찾아낸 이들의 유쾌하고도 흥미로운 연구 이야기를 살펴보겠습니다.
이그노벨 물리학상의 위대한(?) 질문: 시리얼은 왜 눅눅해지는가?
이그노벨상은 '사람들을 웃게 하고, 생각하게 만드는' 연구에 수여되는 권위 있는(?) 시상식입니다. 1995년 이그노벨 물리학상이 시리얼 연구에 수여된 것은, 우리가 흔히 간과하는 일상적인 현상 속에서도 심오한 과학적 원리를 발견하려는 연구자들의 노력을 인정했기 때문입니다. 시리얼이 눅눅해지는 것은 단순한 식감 변화를 넘어, 식품의 질감과 관련된 복잡한 물리화학적 현상입니다.
수상자들은 모두 잉글랜드 노리치에 위치한 식품 연구소(Institute of Food Research) 소속이었습니다. 이 연구소는 식품의 안전성, 영양, 그리고 물리적 특성 등을 연구하는 전문 기관입니다. 언뜻 보면 시리얼의 눅눅함이라는 주제가 '이그노벨상'답게 가볍게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식품 공학 및 재료 과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질감(texture)'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된 진지한 과학 연구였습니다. 그들의 연구 논문은 'Powder Technology'라는 저명한 학술지에 게재되기도 했습니다.
연구의 핵심: 수분 함량이 시리얼의 '바삭함'에 미치는 영향
연구팀은 시리얼 플레이크(조각)가 수분을 흡수하면서 어떻게 물리적 특성이 변하는지에 집중했습니다. 특히 '압축 거동(compaction behaviour)'이라는 물리학적 용어를 사용하며, 시리얼 조각이 힘을 받았을 때 얼마나 부서지기 쉬운지(즉, 얼마나 바삭한지)를 측정했습니다.
그들은 다양한 수분 함량 조건에서 시리얼 플레이크의 밀도, 강도, 그리고 붕괴 특성 등을 정밀하게 분석했습니다. 시리얼이 우유를 만나 수분을 흡수하면, 플레이크 내부의 미세 구조가 변형되고, 이는 시리얼이 쉽게 부서지지 않고 눅눅해지는 현상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것입니다. 쉽게 말해, 시리얼이 물을 머금으면서 '바삭함'이 사라지는 물리적 과정을 파헤쳤습니다.
이그노벨 물리학상 수상의 의미: 일상 속 과학의 발견과 실용적 가치
조겟, 파커, 스미스 팀이 이그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것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닙니다.
- 일상 속 과학의 발견: 우리가 매일 접하는 시리얼의 눅눅함이라는 지극히 평범한 현상 속에서 복잡한 물리학적 원리를 찾아내고 이를 체계적으로 연구했다는 점은 이그노벨상이 추구하는 '생각하게 만드는' 요소에 완벽하게 부합합니다.
- 실용적인 연구의 가치: 비록 시리얼의 눅눅함이 거창한 문제가 아닐지라도, 식품의 질감은 소비자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며, 식품 산업에서는 이를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됩니다. 그들의 연구는 식품 가공 및 보존 기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기본적인 물리학적 데이터를 제공했습니다.
- 학제 간 연구의 중요성: 물리학적 지식을 식품이라는 응용 분야에 적용했다는 점에서, 학제 간 연구의 중요성과 그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시리얼의 바삭함을 지키는 비법: 소비자에게 주는 교훈
이 연구는 시리얼을 더 맛있게 즐기고 싶은 우리에게도 간접적인 교훈을 줍니다. 시리얼이 눅눅해지는 것은 수분 흡수 때문이므로, 시리얼의 바삭함을 오래 유지하려면 다음과 같은 팁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밀폐 용기에 보관: 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하지 않도록 밀폐 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빠르게 섭취: 우유에 넣은 후에는 되도록 빨리 먹는 것이 바삭한 식감을 즐기는 최상의 방법입니다.
- 차가운 우유 사용: 차가운 우유는 시리얼의 수분 흡수 속도를 약간 늦출 수 있습니다.
물론, 일부 사람들은 눅눅해진 시리얼을 더 선호하기도 합니다. 결국 시리얼의 '이상적인' 식감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시리얼의 눅눅함을 연구한 이 사례는 식품 과학이 얼마나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지 보여줍니다. 식품 과학자들은 단순히 영양 성분뿐만 아니라, 질감, 향미, 색깔, 보존성 등 식품의 모든 물리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여 더 안전하고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데 기여합니다. 조겟, 파커, 스미스 팀의 연구는 이러한 식품 과학의 중요성을 유쾌하게 상기시켜 줍니다.
눅눅한 시리얼 속 숨겨진 물리학의 미학!
1995년 이그노벨 물리학상 수상은 잉글랜드 식품 연구소 소속의 D.M.R. 조겟, R. 파커, A.C. 스미스 팀이 보여준 기발하면서도 진지한 연구의 결과입니다. 시리얼의 눅눅함이라는 지극히 일상적인 현상에서 물리적 원리를 찾아내고, 이를 체계적으로 탐구한 그들의 노력은 '이그노벨상'의 취지에 완벽하게 부합합니다. 우리의 아침 식탁을 책임지는 시리얼 한 그릇 속에도 이렇게 심오한 과학적 통찰이 숨겨져 있다는 사실, 정말 흥미롭지 않나요?
'이그노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그노벨상 _ 1995년 공공의학상, 젖은 속옷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34) | 2025.05.30 |
---|---|
이그노벨상 _ 1995년 의학상, 한쪽 콧구멍으로만 숨 쉬면 뇌가 달라진다?! (38) | 2025.05.28 |
이그노벨상 _ 1994년 곤충학상, 고양이 귀 진드기를 내 귀에?! (27) | 2025.05.23 |
이그노벨상 _ 1994년 의학상, 뱀 물린 상처에 '배터리 전기 충격'? (38) | 2025.05.22 |
이그노벨상 _ 1994년 생물학상, 군인의 변비, 직장에 답이 있다?! (39) | 2025.05.20 |